2025. 2. 19. 20:48 godot c#/godot

 

 

반응형

 

고도에는 노드(이미지1)와  코드(이미지2)로 사용하는 래이케스트가 있다 

 

 

Raycast3D로 만든 노드는 인스펙터에 target position으로 레이의 방향을 조정

그 방향은 기즈모로 표현되고 있다

 

 

노드로 실행한 레이는 iscolliding()으로 충돌 여부를 감지하고 

출돌이 있다면 getcollision~ 와 같이 해당 노드가 지원하는 

메소드에서 해당 충돌객체에 대한 정보들을 가져온다

 

 

 

스크립트로 구현하는 레이는 위와 같은데

유니티와 달리 오버로드가 없이 하나다

 

world3d라는 월드 서버에 intersectray()로

query로 요청한 벡터 부분에 교차한 충돌체가 있는지 요청한다

 

query로 들어가는 벡터 위치는 월드 포지션이다 

 

 

 

교차한 충돌체가 있다면 

충돌체의 정보를 딕셔너리 타입으로 반환한다 

 

 

결과값은 이렇게 얻어 사용하면 된다 

 

위에 코드는 이러한 결과값을 볼 수 있다 

 

 

유니티가 눈에 보이는 기즈모나 레이케스트 함수가 간결하여 구현하기 편하다

고도는 line3d나 간단한 기즈모가 있었으면 좋았을 것 같다 

 

 

'godot c# > god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odot) LOD , HLOD 최적화  (0) 2025.03.01
godot) 시그널 연결  (0) 2025.02.10
godot) plugin 카메라 접촉  (0) 2025.02.09

 

 

 

 





카테고리 글 더보기